현충일이란?(현충일의 의미, 유래, 조기 다는 법, 태극기 구입 등)
매년 6월 6일 돌아오는 현충일.
단순한 휴일이 아닌 호국 선열들을 기리기 위한 날인데요.
정확히 알아야 현충일을 뜻 깊게 보낼 수 있는 만큼
오늘은 현충일의 유래와 의미 등 대한 다양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현충일이란?(현충일의 의미)
현충일은 조국의 광복과 국토방위를 위해 싸우다 전사한
순국선열과 장병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현충일에는 국기 또한 조의를 표하는 조기를 달아야합니다.
2. 현충일의 유래?
현충일은 1956년 4월 대통령령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현충일은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습니다.
현충일을 6월 6일로 지정한 이유는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6월 6일이 망종이었습니다.
망종에는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전해져 왔는데요.
우리나라는 농경사회였기에 모내기가 시작되는 망종을 좋은 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기에 당시 정부가 6월 6일을 현충일로 지정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3. 조기 다는 법?(조의 게양하는 법)
현충일에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추모방법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조기를 게양 하는 것입니다.
조기는 조의를 표하며 태극기를 다는 것을 뜻하는데요.
조기 달 때에는 태극기의 깃면을 세로길이 만큼 내려서 게양해야합니다.
국기 게양 시간은 보통 오전 7시부터 오후6까지입니다.
이는 관령 법령도 있을만큼 규격화되어 있기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만약, 태극기를 어디서 구입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가까운 지자체 민원실(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등)
인터넷우체국(www.epost.go.kr)를 통해 구입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오염, 훼손된 태극기는 각급 지자체 민원실, 주민센터의 국기수거함에 넣으면 됩니다.
4. 현충일에 가보면 좋은곳?
현충일을 기념하기 위한 장소를 방문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국립서울현충원을 추천합니다.
국립서울현충원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영령들이 안장된 국립묘지입니다.
매년 현충일에는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추념식이 열립니다.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하시면 사진, 유품, 전시관 등을 둘러 볼 수 있습니다.
올해에는 순국선열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해 보는 것을 어떨까요?
'Information > Common 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노병이란?(원인, 증상, 치료 등) (0) | 2019.06.13 |
---|---|
약산 김원봉,독립투사인가? 사회의주의자인가? (0) | 2019.06.07 |
조현병이란?(원인, 증상, 치료 등) (0) | 2019.06.04 |
기초화장품 용어 설명 & 기초화장품 사용법 (0) | 2019.05.26 |
한센병이란?(정의, 원인, 증상, 치료, 예방) : 선입견을 갖지 말고 정확히 알아보자! (0) | 2019.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