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혹] 최초 관측된 블랙홀! : 블랙홀이란?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이론을 발표하고 100년이 넘었습니다.
그와 함께 나온 블랙홀이란 개념이 있는데요.
그저 영화에서만 볼 수 있었다고 생각되었던 블랙홀을 전체 물리학자들이 최초로 관측에 성공 했습니다.
1. 블랙홀 관측 성공
지금까지 블랙홀은 강한 중력으로 빛까지 빨아들여 관측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 구멍은 미지의공간으로 인식돼왔는데, 이번에 공동연구를 통해 블랙홀의 모습을 처음으로 포착한 것입니다.
블랙홀 경계를 지나는 빛이 휘어질 때 블랙홀 윤곽이 드러난다는 사실에 주목해 그 모습을 촬영했다고 합니다.
이번에 촬영된 블랙홀 ‘M87’은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무게는 태양의 65억 배, 지름은 160억km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영화 '인터스텔라'의 블랙홀 이미지
2. 블랙홀 관측 방법
이번 블랙홀 관측을 위해 세계 13개 천문학 연구기관이 6개 대륙에서 8개 망원경을 연결했다고 합니다.
무려 지구 크기의 가상의 망원경이 생긴 것이죠. 그렇기에 이전에 없던 높은 민감도로 측정이 가능다고합니다.
망원경의 기본 원리는 지구의 자전을 이용해 합성한다고 합니다.
망원경의 성능은 파리의 카페에서 뉴욕에 있는 신문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수준입니다.
3. 블랙홀이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빛도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고 예측합니다.
영국의 물리학자 에딩턴은 개기일식 때 태양 뒤에서 오는 별빛을 관측하여 빛의 경로가 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천체의 밀도가 커질수록 별빛이 휘어지는 정도는 더 커지죠.
만약 천체의 밀도가 극단적으로 높으면 빛이 천체 속으로 빨려 들어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천체를 블랙홀이라 부릅니다.
4. 블랙홀의 가능성
SF(과학소설, Science Fiction) 작가들에게 커다란 희망을 주었습니다. 오늘날 우주를 배경으로 한 SF소설이나 영화들 중에, 블랙홀을 통한 시공간 여행을 빌리지 않는 것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실제로 한 블랙홀이 다른 우주에 있는 블랙홀과 이어질 수만 있다면 우주여행을 하는데 지름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과연, 소설이나 영화에서 꿈꾸던 일들이 현실이 될 수 있을까요?
'Information > Common 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이란?(정의, 특징, 거래) (0) | 2019.05.15 |
---|---|
리디노미네이션이란?(정의, 장점, 단점) (0) | 2019.05.15 |
고속도로에서 쉽게 지나치는 단어들에 대하여 알아보자!(IC란?, JC란?, TG란?, RAMP란?) (0) | 2019.05.13 |
[고기굽기Tip]돼지고기는 꼭 잘 익혀 먹어야 할까?: 햄버거병이란? (0) | 2019.04.10 |
5G란 무엇인가? (1) | 2019.03.19 |